상단으로 이동


조회 게시물
게시물 조회
보도자료" /> 게시물 상세조회
제목 [보도자료] 온실가스 배출량 2018년 2.5% 증가, 2019년 3.4% 감소
등록자 정보관리팀
등록일 2020.09.29
조회수 6,753
첨부파일
▷ 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 2018년,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발표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9월 28일 확정했으며,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점검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2019년 잠정 배출량을 추정하여 함께 공개했다.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확정)은 2017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2019년 배출량(잠정)은 2018년 대비 3.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2018년 배출량(확정) >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발전·열생산, 화학, 중전기기, 반도체·액정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2017년 7억 970만톤 대비 1,790만톤 증가(2.5%↑)한 7억 2,760만톤으로 나타났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른 천연가스 발전량 증가(24.6%↑)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1,700만톤(6.7%↑) 증가했다.

      * 발전량 : 2017년 553.5 테라와트시(TWh) → 2018년 570.6 테라와트시(TWh) (3.1%↑) (자료 : 2019년 에너지통계연보)

제조업·건설업 배출량은 2017년 대비 5만톤 증가(0.03%↑)했다. 세부 부문별로는 화학에서 533만톤 증가(13.1%↑)했고, 철강 416만톤(4.2%↓), 제조·건설업-기타 부문 161만톤(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부문 배출량은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에 따라 2017년 대비 533만톤 증가(13.1%↑)했다. 

* 프로필렌, 에틸렌, 벤젠, 자일렌, 톨루엔, 부타디엔 생산량 2017년 대비 2.9% 증가

철강 부문 배출량은 유연탄 소비량 감소*에 따라 2017년 대비 416만톤 감소(4.2%↓)했다. 

* 유연탄 소비량 2017년 대비 4.6% 감소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상승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23만톤 소폭 감소(0.2%↓)했다. 

* 휘발유가 : 2017년 1,492 원/ℓ → 2018년 1,581 원/ℓ(6%↑)

기타(상업·공공·가정 등)부문은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소폭 감소(0.2%↓)했다.

* 국제유가(두바이유) : 2017년 53.2$/배럴(bbl) → 2018년 69.7$/배럴(bbl)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은 중전기기와 반도체·액정 부문 위주로 2017년 대비 260만톤 증가(14.1%↑)했다. 

중전기기는 친환경 개폐기 전환으로 육불화황(SF6) 폐기량이 증가(433%↑)하여 배출량도 220만톤 증가(83.7%↑)했다. 

반도체·액정 부문은 반도체 생산 증가로 공정가스 소비량이 증가(PFCs 27%↑, HFCs 32%↑)하여 배출량도 90만톤 증가(14.3%↑)했다.

이번에 확정된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제사회에 제출되는 국가 승인 통계로서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 2019년 배출량(잠정) >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 280만톤으로 2018년 7억 2,760만톤보다 2,490만톤 감소(3.4%↓)한 것으로 추정된다.

배출량 감소는 발전·열생산 부문 배출량 부문(1,960만톤 감소)와 기타(상업·공공·가정 등) 부문(210만톤 감소)에서 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대비 발전·열생산 부문 감소량 1,960만톤(7.3%↓)은 총 발전량 감소*(1.3%↓),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 발전량 감소***(4.8%↓),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6.3%↑) 등이 주된 요인으로 추정된다.

* 2018년 571 테라와트시(TWh) → 2019년 563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 연료 전환(영동 #2, 2019.1), 가동 중단(삼천포 #5·6, 보령 #1·2, 2019.3·6월), 발전제약(최대 14기 출력 80%로 제한, 2019.1·5월)
*** 2018년 239 테라와트시(TWh) → 2019년 227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기타(상업·공공·가정 등) 부문은 따듯한 기온으로 난방용 연료 소비가 감소하여 2018년 대비 210만톤 감소(4.0%↓)한 것으로 보인다.

* 연평균기온 : 2018년 12.9℃ → 2019년 13.5℃(난방도일 8.6% 감소)

수송 부문은 유류가격 하락*으로 2018년 대비 170만톤 증가(1.8%↑)한 것으로 추정된다.

* 휘발유(2018년 1,581원/ℓ → 2019년 1,472원/ℓ), 경유(2018년 1,392원/ℓ → 2019년 1,340원/ℓ)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 또는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국내 총생산(GDP) 10억 원당 배출량'은 380톤/10억원으로 나타나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하는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 GDP당 배출량(톤/10억원) : 2017년 403 → 2018년 402 → 2019년 380(잠정) 

'1인당 배출량'은 13.6톤/명으로서 2018년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1인당 배출량(톤/인) : 2017년 13.8 → 2018년 14.1 → 2019년 13.6(잠정)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2019년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 따라 2019년부터 온실가스 잠정치**를 추정하고, 관련 부처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정책 평가에 활용할 계획이다.

* 기후변화 정책의 목표를 제시하는 기후변화 대응의 최상위 계획으로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20년 계획기간으로 5년마다 수립
** 영국(기후변화위원회),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온실가스 잠정치 통계 발간

2019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에너지통계월보, 배출권거래제 자료 등 유관자료를 토대로 추정한 결과로서 내년에 확정하여 유엔(UN)에 제출하는 공식 통계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2018년 잠정치와 확정치의 차이는 0.5% 수준으로 확인됨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자료는 9월 29일부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누리집(www.gi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확정).
        2. 1990~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3.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잠정).
        4. 전문용어 설명.  끝.